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7월 14일부터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디트’ 신청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올해는 특히 지원 범위와 방식이 확대되어 더 많은 소상공인이 실질적인 경영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는데요. 최대 50만 원까지 디지털 크레디트로 지원되며, 고정비 부담 완화에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서둘러 신청하세요!
✅ 신청 방법
신청은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공식 사이트(https://부담경감크레디트. kr)를 통해 진행되며, 중소벤처기업부의 ‘소상공인 24’에서도 연결됩니다. 사업자등록번호, 매출 자료, 임대료 및 공과금 납부 증빙 등을 파일로 준비해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로그인 후 약 10분 내외로 신청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초기 5일간은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에 따른 ‘5부제’ 방식이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7월 14일(월)에는 끝자리가 4 또는 9인 경우 신청 가능하며, 이후 날짜별로 번호가 순차적으로 배정됩니다. 7월 19일(토)부터는 끝자리에 상관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신청도 가능합니다. ‘소상공인마당’ 앱 또는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전용 앱’을 통해 본인 인증 후 신청 화면에 접속하면 손쉽게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신청 후에는 문자와 이메일로 접수 완료 및 결과 안내가 오며, 마이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 대상 조건
지원 대상은 매출 30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 중 2024년 대비 매출이 10% 이상 감소한 사업체입니다. 단, ‘일반형’과 ‘신규 창업형’, ‘피해 업종형’으로 구분되며 유형에 따라 요건이 달라집니다. 예외 사항도 명확히 정리되어 있어 세부 조건에 부합하지 않더라도 ‘보완서류’를 제출하면 예외 신청이 가능합니다.
기본 요건 외에도 세금 체납, 사업장 폐업 여부, 휴·폐업 이력 등이 평가 대상에 포함됩니다. 특히 2025년 신규 창업자의 경우, 8월 1일부터 별도 신청 기간이 열리므로 현재 신청 대상은 ‘2024년 말 이전 창업자’로 한정됩니다.
분류/유형 | 기준/조건 | 지원 내용 |
---|---|---|
일반 소상공인 | 2024년 대비 매출 10%↓ | 크레딧 30~50만원 |
신규 창업자 | 2025년 창업, 8월 1일부터 신청 | 최대 30만 원 |
피해 업종 | 코로나, 재난 피해 입증 | 최대 50만 원 |
중복 수혜자 | 타 정책 수혜 이력 있음 | 조정 감액 지급 |
세금 체납자 | 최근 1년간 체납 이력 | 지원 대상 제외 |